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대나무의 종류

대나무(Bambusoideae)의 종류 외떡잎식물 벼목 벼과에 속하는 상록성 여러해살이 식물입니다. 세계적으로 종류가 매우 많으며, 120 속 1250종이 분포합니다. 대부분은 한국, 중국, 일본에서 자라며, 중국에 약 500여 종, 일본에 약 650여 종이 자랍니다. 습기가 많은 열대지방에서 잘 자라서 우리나라에서는 중부이남에 제주도 등지에 많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특징은 줄기가 꼿꼿하며 속이 비어 있습니다. 생장방법은 땅 속 줄기가 옆으로 뻗어 마디에서 뿌리와 순을 틔워 자연 번식을 합니다. 잎은 좁고 긴 형태를 가지며, 습기가 많은 땅을 좋아하며, 생장이 빠릅니다. 꽃이 좀처럼 피지 않지만, 한번 필 경우에는 전 대나무밭에서 피게 됩니다.대나무의 꽃은 번식과는 무관하며 개화시기는 3, 4..

카테고리 없음 2025. 2. 18. 23:58
동글동글한 잎에 이름이 비슷한 병꽃풀과 병풀

1. 병꽃풀(Ground ivy)(학명 : Glechoma hederacea)  다년생 꿀풀과인 병꽃풀은 연전초(連錢草), 동전초(銅錢草), 금전초(金錢草)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활짝 핀 꽃이 긴 병을 닮아서 병꽃이라고 불립니다. 잎의 모양인 동전을 닮아서 붙여진 이림은 연전, 동전, 금전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꿀풀과이므로 줄기가 사간이라는 특징과 허브향이 나는데, 저지대 습지의 볕이 좋은 곳에서 자랍니다. 잎과 줄기는 붉은빛이 섞여서 같은 꿀풀과인 광대나물과 비슷해 보이지만 덩굴성입니다.처음부터 덩굴성은 아니고 꽃이 핀 후 점차 바닥을 기게 됩니다.  같은 종이로도 잎도 줄기도 줄기도 푸른 긴병꽃풀도 있습니다. 병꽃풀보다 긴병꽃풀을 더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둘 다 지표면을 덮는 피복식물 ..

카테고리 없음 2025. 2. 18. 23:53
숲 해설가, 유아숲 지도사 자격증 딸 수 있는 방법

1. 숲해설가, 유아숲지도사, 및 숲길등산지도사 자연휴양림, 유아숲체험원, 숲길 등에서 국민산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해설하거나 지도, 교육하는 전문가로서 숲해설가, 유아숲지도사, 숲길등산 지도사로 구분됩니다. 내일 배움 카드 만들러 가기 2. 숲해설가 자격증 취득하기숲해설가는 한국산림복지진흥원에서 관리 중입니다. 과정은 기관별, 분기별로 수강생을 모집 중이며, 신청서 작성 -> 수업료 입금 -> 3개월(통상적으로) 이론 수업 및 실습 ->자격증 신청 및 교부증 발급 3. 유아 숲 지도사 가격증 취득하기 마찬가지로 기관별, 분기별로 수강생을 모집 중이며,신청서(이력서) 작성 → 미래 배움 카드 발급(필수 사항인 경우가 많습니다.) → 이론 수업 및 ..

카테고리 없음 2025. 2. 15. 22:28
추억속의 연잎과 토란잎

요즘처럼 소나기가 많이 오는 철이 되면 어릴 때 우산이 없어서 동네에서 급조한 커다란 잎을 우산 삼아 많이 쓰곤 했던 기억이 납니다. 잎이 큰 식물로는 흔하게 토란잎과 연잎, 호박잎등이 생각이 나는데, 호박잎은 힘이 없고 줄기가 가시가 많아서 잘 쓰진 않았고, 토란잎과 연잎을 쓰고 다녔던 것 같습니다. 토란잎 요즘도 가끔 텃밭이 있는 곳을 지나다 보면 사람 키보다 훌쩍 자라나 있는 토란숲(?)을 만나곤 합니다. 토란은 보통 땅속에 있는 덩이와 줄기를 보통 식용하는 것을 많이 보았습니다. 하지만 잎도 말려서 들기름에 볶아 드시기도 하는 가봅니다. ☞ 토란잎 말리기 토란대는 진물에 사람 손에 닿으면 두드러기가 일어난다고 하니 꼭 장갑을 끼시고 껍질을 벗겨, 다듬어서 일주일 이상 바싹 말렸다가 드시기 좋은 크..

카테고리 없음 2023. 7. 30. 19:46
이전 1 ··· 5 6 7 8 9 10 11 ··· 26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elp@abaeksite.com | 운영자 : 아로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