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금불초와 개망초

1. 금불초(金佛草)(학명 :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국화과 식물입니다. 꽃이 노란 금색이라서 금불초라고 불리는데 조선시대에는 하국(夏菊)이라고도 불렀습니다.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랍니다. 뿌리줄기가 뻗어나가면서 번식을 하는데, 높이는 30~60cm이며, 전체적으로 털이 나고 줄기는 곧추섭니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를 없습니다. 긴 타원형 모양이거나 뾰족한 타원형으로 잔 톱니가 있습니다. 잎의 길이는 5~10cm이고 너비는 1~3cm로 밑 부분이 좁아지며 줄기를 싸서 양면에 털이 있습니다. 꽃은 7~9월에 진한 노란색으로 피는데 원줄기와 가지 끝에 달려서 피며, 산방상(繖房狀 : 흩어져서 피는 모양)으로 달립니다. 총포(꽃자루가 단축되어 모인 것)는 반구형으로 비늘은..

카테고리 없음 2022. 9. 14. 15:52
콩과 식물인 새콩과 돌콩

1. 새콩(Trisperma hogpeanut)(학명 : Amphicarpaea triperma (Miq.) Baker) 한해살이 덩굴로 가늘고 질긴 편으로 전체적으로 밑으로 향해 펼쳐진 흰색 털이 있습니다. 농촌의 들녘이나 길가, 숲의 가장자리, 밭의 언저리 등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돌콩보다는 조금 늦은 4월 경에 싹이 틉니다. 잎은 어긋나며, 3개의 잎이 같이 나옵니다. 뒷면은 백색이고, 양면이 누워 있는 흰색의 짧은 털이 있습니다. 작은 잎의 길이와 폭이 비슷하고 둥근 모양입니다. 긴 잎자루에 갈색의 털이 있으며, 좁은 달걀 모영의 받침 잎이 떨어지지 않고 붙어 있습니다. 꽃은 8~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연한 자주색으로 나비모양의 꽃이 여러 개가 피며, 땅속에 피지 않는 꽃이 있습니다. 열매는 평평..

카테고리 없음 2022. 9. 12. 16:14
노란색이 이쁜 황매화와 죽단화

1. 황매화(黃梅花, Kerria)(학명 : Kerria japonica)   장미목 나무입니다. 습기가 많은 곳에서 무성하게 자라고 그늘에는 약합니다. 높이는 2m 정도이며 무더기로 자랍니다.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없습니다. 잎은 어긋나게 나고 긴 달걀 모양이며 겹톱니가 있으며 길이는 3~7cm 내외입니다. 꽃은 4~5월에 노란색으로 잎과 같이 가지 끝에 달립니다.  꽃받침 갈래와 꽃잎은 5개씩이며 수술은 많으며 암술은 5개입니다.열매는 딱딱한 열매로 9월에 맺히며, 검은 갈색의 달걀 모양의 원형입니다. 관상용으로 많이들 심습니다.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합니다. 꽃잎이 많은 것을 겹매화(for. plena)라고 합니다.    2. 죽단화(학명 : Kerria japonica f. Pleniflora ..

카테고리 없음 2022. 9. 6. 14:25
무릇으로 불리는 석산과 상사화

1. 석산(石蒜)(학명 : Lycoris radiata)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 알뿌리 식물입니다. 비늘줄기의 한약명이 석산(石蒜)입니다. 꽃무릇, 사인화(死人花), 유령화(幽靈花), 피안화(彼岸花)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립니다. 일본 에도시대에 덴메이 대기근(1782~1788년)이 일어나서 당시에 먹을 것이 없게 되자 독이 들어 있는 식물인 석산을 데쳐서 먹었는데, 그마저도 모두 먹고 난 후에는 사람을 잡아먹는 방법밖에 남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죽음의 상징으로 여기게 되었다고 합니다. 산기슭이나 습한 땅에서 무리를 지어서 자라며, 절 근처에 많이들 심어져 있습니다. 높이는 줄기 길이가 30~50cm 정도입니다. 잎은 길이가 30~40cm이며, 너비는 1.5cm 정도로 기다랗고 가늡니다. 10월에 돋아..

카테고리 없음 2022. 9. 4. 16:11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26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elp@abaeksite.com | 운영자 : 아로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