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1. 새콩(Trisperma hogpeanut)(학명 : Amphicarpaea triperma (Miq.) Baker)

새콩꽃

 

한해살이 덩굴로 가늘고 질긴 편으로 전체적으로 밑으로 향해 펼쳐진 흰색 털이 있습니다. 농촌의 들녘이나 길가, 숲의 가장자리, 밭의 언저리 등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돌콩보다는 조금 늦은 4월 경에 싹이 틉니다. 은 어긋나며, 3개의 잎이 같이 나옵니다. 뒷면은 백색이고, 양면이 누워 있는 흰색의 짧은 털이 있습니다. 작은 잎의 길이와 폭이 비슷하고 둥근 모양입니다. 긴 잎자루에 갈색의 털이 있으며, 좁은 달걀 모영의 받침 잎이 떨어지지 않고 붙어 있습니다. 

은 8~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연한 자주색으로 나비모양의 꽃이 여러 개가 피며, 땅속에 피지 않는 꽃이 있습니다. 

 

열매는 평평하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습니다. 익으면 용수철처럼 터지면서 퍼져 나갑니다. 꽃잎이 닫혀있는 폐쇄화(閉鎖花)가 있으며, 이는 자가수분(自家受粉: 한 개의 꽃에서 같은 개체의 꽃가루를 암술이 꽃가루받아 수분이 되는 현상)의 수단으로 쓰입니다. 그의 열매는 둥글며, 땅 위에 달린 열매보다 두배로 큰 열매 한 개를 반드시 가지고 있습니다. 

 

서식처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싹을 틔우며, 폐쇄화의 큰 종자는 휴면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다음해에 싹을 틔우거나 그렇지 않으면 썩어서 자연의 자양분으로 돌아가 버립니다. 

한글명 새콩콩이 작다거나 볼품이 없다거나 거칠어서 유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형용명사는 새와 콩의 합성어로 보입니다. 일본명인 박엽수두(薄葉薮豆) 도 비슷한 의미이며, 얇은 잎을 가지고 농촌의 풀숲 언저리 근처에 사는 야생 콩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우리나라 전국에서 자라며 양지나 반음지에서 자랍니다. 중국, 만주, 일본, 아무르 등지에서 자랍니다. 

 

 

반응형

 

2. 돌콩(학명 : Glycine soja)

돌콩꽃

들에서 보통 잘 자랍니다. 새콩보다 훨씬 건조한 곳에서도 자라며, 그래서 서식지의 범위가 더 넓습니다. 

 

전체에 갈색 털이 있습니다. 줄기는 가늘고 길며 다른 물체를 잘 감습니다. 길이는 2m 정도입니다. 은 어긋나게 하며 잎자루가 있으며 작은 잎이 3개로 이루어진 겹잎입니다. 작은 잎은 달걀 모양이거나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이며 길이가 3~8cm, 너비는 0.8~2.5cm이며 가장 자리에 톱니가 없습니다. 줄기에서 잎으로 갈라지는 첫 부분의 작은 잎자루는 넓은 바소꼴이고 길이는 2~3mm로 잎맥이 있습니다. 작은 턱잎은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며 길이가 1.5~2mm로 맥이 3갈래가 있습니다.

은 7~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홍자색으로 피는데 우산대가 펼쳐서 피는 모양으로 대에서 나오며 나비모양입니다. 길이는 2~5cm이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털이 있으며, 5개로 갈라집니다. 꽃받침은 나비모양이며, 수술은 10개인데 각각 2갈래로 갈라집니다.

열매는 2~3cm로 털이 많습니다. 종자는 갈색의 털이 있는 밀실에 들어가 있는, 타원형이거나 신장 모양으로 생겼으며 펑펑한 검은색입니다. 열매는 콩과 비슷하게 쓰입니다. 

속명인 Glycine는 희랍어인 'Glycys'의 '달다'라는 뜻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우리말의 '돌'이라는 접두어는 주로 '단단하다', '야생이다', '거칠다'라는 의미가 있으며 일본에서는 덩굴 콩이라는 의미로 만두(蔓豆)라고 불립니다. 

대한민국 전국 각지에서 자라며, 중국, 일본, 아무르 등지에 분포하며 자랍니다. 

 

3. 새콩과 돌콩

 

새콩은 돌콩과 비슷해 보이지만 속명이 다른 만큼 여러 가지 다릅니다.

새콩은 줄기에 흰색의 펼쳐진 털과 긴 잎자루에 갈색 털이 있습니다. 

 

잎의 상하좌우의 지름이 비슷해서 둥근 타원형이자만, 돌콩 잎은 길이가 폭보다 길어 좁고 타원형입니다. 

돌콩에는 폐쇄화가 없습니다. 돌콩이 대두에 가깝다면, 새콩은 땅콩에 가깝습니다. 그러나 돌콩과 새콩은 비슷한 곳에서 자라기 때문에 공간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자입니다. 

 

농촌에 가보면 돌콩이 새콩보다 많이 관찰되는데 그 이유는 돌콩이 먼저 싹을 틔워서 자라고 꽃을 피우고 종자를 먼저 뿌리기 때문입니다.

 

온대지역에서는 봄부터 늦여름까지 자라고 열매를 맺으며, 생육기간 제한이 없는 열대나 아열대 기후에는 그런 것이 없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