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1. 꼬리풀(Speedwell)(학명 : Veronica linariifolia Pall.)
가는 잎 꼬리 풀 또는 자주 꼬리풀이라고도 합니다. 높이는 40~80cm 정도로 자라며, 줄기는 조금 갈라지며 위를 향해 굽은 털이 있으며 곧게 섭니다. 잎은 마주나거나 어긋하게 나는데, 한쪽이 뾰족한 타원형이거나 선형의 타원형으로 양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 위쪽에 몇 개의 톱니가 있고 잎 길이는 4~8cm, 폭은 5~8mm로 뒷면 맥 위에 굽은 털이 나와있고, 잎자루는 없습니다. 꽃은 7~8월에 푸른빛이 도는 보라색 꽃이 꽃대를 따라서 달리면서 피는데 끝부분은 꽃이 다닥다닥 붙어서 피며, 이 꽃차례의 길이기 10~30cm 정도 되며, 굽은 털이 나옵니다. 꽃부리는 길이가 6mm로 4갈래로 갈라지며 수평으로 퍼지며, 꽃받침은 길이는 2mm로 4갈래로 갈라지며 끝이 뭉툭하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수술은 2개, 암술은 1개입니다.
포엽은 줄 모양이고, 꽃대의 거의 같은 길이입니다. 열매는 둥근 모양의 벌어지지 않는 납작한 과실로 9~10월에 익습니다. 흰꽃이 피는 것을 흰꼬리풀(V.I. for. alba), 잎이 넓은 타원형이거나 달걀형인 것을 큰꼬리풀 (var.dilatata)라고 합니다. 어린잎은 먹기도 하고 관상용으로 많이 심습니다.
민간에서는 풀 전체를 진통제, 거담제, 진해제, 방광염 등을 치료하는 약재로 쓰입니다.
다년생 풀이며 원산지는 대한민국이며 전국 각지 산과 들의 풀밭에서 자랍니다. 꽃말은 '달성'입니다.
2. 샐비어(salvia officinalis L.)
우리나라에선 깨꽃, 약불꽃, 서미초(鼠尾草: 쥐꼬리풀) 이라고도 불리는데 봄에 씨를 뿌려 자라는 1년 초로 알려져 있습니다. 높이는 60~90cm입니다.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곧추서며 가지를 칩니다. 잎은 마주 보고 나며 긴 달걀 모양으로 길이는 5~9cm로 끝이 뾰족하고 아랫부분이 넓으며 뭉툭하며, 낮은 톱니가 있으며 흰 털이 나옵니다. 잎자루는 깁니다.
고온과 습기에 강해서 여름 화단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기후에 키우기가 쉽고 여름부터 가을까지 꽃을 피우며 요즘은 작은 종이 개발되어서 회단에서 관상용으로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원산지는 남아메리카 브라질로 약 50여 종이 있습니다. 추위에 약해서 5도 이하가 되면 생육이 정지되고 0도씨 이하에서는 동사를 합니다. 꽃이 피는 조건은 품종에 따라서 차이가 있습니다.
꽃은 주로 6~10월에 아래쪽을 향해서 꽃대를 따라서 달리면서 피는데 길이는 8~10cm 길이입니다. 꽃 하나에 4개의 종자가 들어 있습니다. 꽃받침은 종 모양으로 윗입술은 끝이 뾰족하고 아랫입술은 끝이 둘로 갈라지며 능선이 있습니다. 꽃부리의 갈이는 5~6cm로 통 부분이 길고, 아랫입술이 웟입술보다 짧으며 세 갈래로 갈라집니다. 수술은 2개입니다.
그늘에서는 꽃이 적게, 늦게 피지만 양지에서는 꽃이 많이 빨리 피면서 꽃잎 색이 다소 흐리게 나옵니다. 단일성으로 개화 반응에 민감합니다. 꽃이 피기 시작한 지 한 달 정도가 되면 거의 모두 시들어버립니다.
반그늘에 심은 것이 좋으며, 싹이 나는 온도는 20~25℃, 자라기 좋은 온도는 15~22℃이며, 30℃이상이 되면 잘 자라지 않고 꽃색이 없어집니다. 보통 2~3일에 한 번씩 충분히 물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원 샐비어는 붉은색이 대부분이었는데, 숙근(宿根) 샐비어는 겨울에 뿌리가 알뿌리로 땅에서 추위를 견디고 다시 피어나는 개량종으로 보라색입니다.
3. 꼬리풀과 숙근 샐비어
꼬리풀의 수술은 길어서 꽃 밖으로 삐쳐 나와 있어서 밖에서 보면 뾰족한 느낌이 있습니다.
꼬리풀에 비해 샐비어의 꽃잎이 좀 더 진하고 강한 느낌입니다. 꼬리풀의 꽃잎의 크기는 같지만 샐비어의 잎은 샐비어 특유의 모양을 하여 크기가 서로 다릅니다.
꼬리풀의 꽃차례를 보면 우산을 접어놓은 것처럼 가지런하며, 꽃의 좀 더 꼼꼼하게 많이 있습니다.
꼬리풀의 잎은 길고 끝부분이 뾰족하며, 샐비어의 잎은 길고 끝이 둥그렇습니다.